목록리플리케이션 (1)
정리하고기록하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Pwan/btrGlhtf6LZ/paYk4NldO5k18591AsjqX1/img.jpg)
DB Clustering DB Clustering 이란 DB를 여러개의 서버가 나눠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ex )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죽으면 어떻게 대응할까?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여러개로 만들자 ( 클러스터링 ) 서버 한 대가 죽어도 대비가 가능하다. 여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부하를 분산시켜 사용자의 요청을 더 많이 수용할 수 있다. ( 로드 밸런싱 ) 여러 대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가지므로 높은 가용성을 보장한다. ( 높은 가용성 ) DB의 가용성이란 DB가 동작하고 있는 시간과 정지한 시간의 비율이다. DB 시스템을 구성할 서버나 스토레지 장비를 각각 2대 이상으로 구성해서, 만의 하나 어느쪽인가에 장애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단 시간내에 운용을 재개 할 수 있도록 한다. DB Clustering..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 DB )
2022. 7. 2. 1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