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하고기록하자
RESTful API 본문
반응형
RESTful API
- REST 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이다. 여기에 ~ful 이라는 형용사형 어미를 붙여 ~ 한 API 라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즉 REST 의 기본 원칙을 성실히 지킨 서비스 디자인은 'RESTful' 하다고 표현 할 수 있다.
- REST는 하나의 *아키텍처로 볼 수 있다. API 설계의 중심에 자원 ( Resource ) 이 있고, HTTP Method 를 통해 자원을 처리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 *아키텍처 : "하나의 서비스가 어떻게 구성이 되며 어떻게 동작이 된다" 라고 표현이 될 거 같습니다. 즉 아키텍처란 서비스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 *HTTP Method : HTTP 메소드는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게 사용자 요청의 목적이나 종류를 알리는 수단이다.
HTTP Method 종류
- GET : 리소스 조회
- POST : 요청 데이터 처리, 주로 데이터 등록에 사용
- PUT : 리소스를 대체, 해당 리소스가 없으면 생성
- PATCH : 리소스를 일부만 변경
- DELETE : 리소스 삭제
REST 6 가지 원칙
- Uniform Interface ( 유니폼 인터페이스 )
- Stateless ( 무상태성 )
- Caching ( 캐시 가능 )
- Client-Server ( Server 구조 )
- Hierarchical system ( 계층 )
- Code on demand
https://meetup.toast.com/posts/92
REST API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 NHN Cloud Meetup
REST API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meetup.toast.com
바쁜 개발자들을 위한 REST 논문 요약
REST란 무엇인가?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줄임말로, 웹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REST는 Roy T. Fielding이 그의 박사학위 논문 “Architectural Styles and the Design of Network-based Sof
blog.npcode.com
반응형
'개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 PSA (0) | 2022.05.02 |
---|---|
Spring - DI (0) | 2022.05.02 |
Spring - AOP (0) | 2022.04.30 |
JDK 1.7 -> 1.8 (0) | 2022.04.28 |
Spring - IoC (0) | 2022.04.22 |